Skip to content

“다이버라면 꼭 알아야 할 자외선 차단제 이야기” 바다를 위한 작은 선택

자외선 차단제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다이버라면, 바다의 목소리를 먼저 들어야 합니다

다이빙은 바다를 누구보다 가까이에서 느끼는 경험입니다.
우리가 만나는 그 아름다운 산호와 물고기들이 사실 얼마나 연약한 존재인지, 알고 계신가요?

그중에서도 산호초는 바다 생태계의 허파이자, 수많은 해양 생물의 보금자리입니다.

🐠 산호는 왜 중요할까요?

  • 바다 생물의 25% 이상이 산호초 주변에서 서식합니다.
  • 산호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생성하는 역할도 합니다.
  • 연안 방파제 역할도 해 해안 침식을 줄이는 천연 방어막이 됩니다.
  • 관광, 다이빙, 어업 등 수많은 산업이 산호 생태계에 의존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자외선 차단제의 화학 성분이 이 산호초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 해양 생태계를 위협하는 자외선 차단제

다이빙이나 스노클링 전 바른 자외선 차단제가 물에 씻겨 나가면서 산호와 해양 생물에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가 다수 존재합니다.

⚠️ 특히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칩니다:

  • 산호의 DNA 손상, 기형 유발
  • 백화현상(bleaching) 촉진
  • 산호 유생의 번식 저해
  • 해양 생물의 내분비 교란사망률 증가

“미국 국립공원청(NPS)에 따르면, 매년 약 4,000~6,000톤의 자외선 차단제가 바다로 흘러들어간다고 추정.
일부 연구에서는 이를 14,000톤 이상으로 보는 경우도 있으며, 이는 지역 범위나 계산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해양 생태계에 해로운 성분 리스트

Haereticus Environmental Lab 기준 (Protect Land + Sea 인증 회피 목록)

▫ 자외선 차단 성분
  • 옥시벤존 (Oxybenzone)
  • 옥티녹세이트 (Octinoxate)
  • 옥토크릴렌 (Octocrylene)
  • 4-메틸벤질리덴캠퍼 (4-methylbenzylidene camphor)
  • 파라아미노벤조산 (PABA)
  • 호모살레이트 (Homosalate)
  • 옥티살레이트 (Octisalate)
  • 부틸옥틸 살리실산 (Butyloctyl Salicylate)
▫ 보존제 (방부제)
  • 메틸파라벤
  • 에틸파라벤
  • 프로필파라벤
  • 부틸파라벤
  • 벤질파라벤
  • 트리클로산
▫ 기타 유해 성분
  • 마이크로플라스틱 구슬
  • 나노 징크옥사이드
  • 나노 티타늄디옥사이드
  • 기타(폴리에스터-8, 폴리에스터-25, 나일론-6/10/11/12, 나일론 글리터, 폴리에스터 글리터, 오르가솔 폴리아미드, HDI/트리메틸올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 폴리카프롤락톤, 폴리에틸렌 분말 또는 섬유)

🤔 다이버라면 꼭 알아야 할 이유

우리의 숨결 하나, 몸짓 하나가 바다에 닿습니다.
특히 다이버는 바다에 더 오래, 더 깊이 머무르기에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도 큽니다.

지속가능한 다이빙이란 단순히 자연을 즐기는 것이 아니라
‘자연을 해치지 않는 방식’으로 즐기는 것입니다.
바다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작은 행동 하나부터 바꿔야 합니다.

또한 해양 생태계가 무너지면 그 피해는 바다에만 머물지 않습니다.
산호초는 바다 생물의 보금자리일 뿐만 아니라,
연안 어획량, 기후 조절, 관광 산업 등 인간의 삶과 직결된 수많은 시스템에 영향을 미칩니다.
실제로 산호초가 줄어들면 어류 자원이 감소하고, 이는 어민 생계 악화식량 안보 위기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결국, 우리가 바다에 무심코 남긴 흔적은 시간차를 두고 우리에게 되돌아오는 셈입니다.

📋 대안은 무엇일까요?

다행히, 대안은 분명 존재합니다.

✔️ 안전한 선택 기준

  • 무기 자외선 차단제 사용: 비나노 징크옥사이드, 티타늄디옥사이드
  • Reef-Safe” 또는 “Reef-Friendly” 라벨 확인
  • 합성 향료 및 보존제 최소화된 제품 선택
  • 모자, 선글라스, 래시가드 착용 등으로 차단제를 최소화

⚠️ 주의할 점

  • Reef-safe 라는 문구만 믿지 말고 성분표 직접 확인
  • 무기자차라도 나노 입자일 경우 일부 해양 생물에 유해할 수 있음
  • 충분히 흡수된 후 입수하기

📌 다음 편 예고

💡 “그럼 어떤 제품을 써야 할까요?”
다음편에서는 인증받은 해외 제품과 국내 제품 리프세이프 자외선 차단제들을 소개해드릴께요.


🔬 주요 연구 및 출처

No comment yet, add your voice below!


Add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Latest Posts

스쿠버 장비 수명을 좌우하는 관리 방법

스쿠버장비 관리는 어떻게 해야할까? ‘스쿠버 장비’ 는 단순한 장비가 아닙니다. 수중에서 생명을 지켜주는 필수 도구입니다. 다이빙 장비는 바닷
중급 다이버 자주하는 실수

‘중급 다이버’ 가 자주 하는 실수 7가지– 경험만으로 부족한 이유

‘중급 다이버’ 는 일반적으로 30~100회 이상의 로그를 쌓으며 기본기와 수중 적응력, 장비 운용에 대한 익숙함을 갖춘 상태입니다. 하지만